사도 요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도 요한은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인물로, 예수의 제자이자 복음서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진다. 갈릴리 호수에서 어부로 일했으며, 야고보의 동생이다. 예수를 따르며 열두 사도 중 한 명이 되었고, 예수의 변형, 겟세마네 동산에서의 기도 등 중요한 사건에 베드로, 야고보와 함께 참여했다. 요한은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로 묘사되었으며, 예수의 십자가 처형 당시 곁을 지켰다. 전통적으로 요한복음, 요한 1, 2, 3서, 요한계시록의 저자로 여겨지나, 현대 성서학에서는 저자 문제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요한은 초대 교회의 지도자였으며, 전승에 따르면 순교하지 않고 에페소에서 자연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도 요한 - 예수가 사랑한 제자
예수가 사랑한 제자는 요한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특별한 사랑을 받은 제자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사도 요한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논쟁과 해석의 대상이며 예술 작품의 중요한 주제이자 한국 개신교에서도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된다. - 신약성경에 관한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신약성경에 관한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사도 요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성인 |
이름 | 요한 사도 |
로마자 표기 | Ioannes |
그리스어 표기 | Ἰωάννης |
아람어 표기 | ܝܘܚܢܢ ܫܠܝܚܐ (Yohanān Shliḥā) |
히브리어 표기 | יוחנן בן זבדי (Yohanan ben Zavdi) |
콥트어 표기 | ⲓⲱⲁⲛⲛⲏⲥ 또는 ⲓⲱ̅ⲁ |
아르메니아어 표기 | Հովհաննես |
출생일 | 기원후 6년경 |
출생지 | 로마 제국 갈릴래아 벳사이다 |
사망일 | 기원후 100년경 (93세) |
사망지 | 장소 불명, 추정 로마 제국 에페소스 |
직함 | 열두 사도, 요한 복음사가 |
축일 | '12월 27일 (로마 가톨릭 교회, 성공회) 9월 26일 (동방 정교회)' |
숭배하는 종교 | 모든 기독교 교파, 이슬람교(예수의 제자 중 한 명), 드루즈교 |
영향 | 예수 |
영향을 받은 사람 |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폴리카르포스,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솔로몬의 송가 |
상징 | |
상징물 | 독수리, 복음서, 잔 속의 뱀, 가마솥 |
수호 | 사랑, 충성, 우정, 작가, 서점, 화상 환자, 독극물 피해자, 미술상, 편집자, 출판업자, 서기관, 시험, 학자, 신학자, 소아시아, 터키 및 터키인, 시기와 질투 |
주요 성지 | |
주요 성지 | 해당 사항 없음 |
추가 정보 | |
기타 | '요한 복음, 요한 1서, 요한 2서, 요한 3서 및 요한의 묵시록의 저자로 전통적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학자들은 이를 부정함' '요한 사도의 사망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부족하며, 여러 전설이 존재함' |
2. 신약성서 속 요한
요한은 형인 야고보와 함께 갈릴래아 호수에서 어부로 일하다가 나사렛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다. 베드로, 형 야고보와 함께 예수의 가까운 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예수의 변형 장면이나 겟세마네에서의 기도 등 중요한 순간에 예수와 동행했다. 누가복음서에서는 예수가 베드로와 요한 두 사람에게 최후의 만찬 준비를 맡겼다고 기록하고 있다.[133]
요한복음서에서는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을 때 제자 중 유일하게 "사랑하는 제자"가 십자가 아래에 있었다고 전한다.[134] 이 때문에 전통적으로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을 묘사할 때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와 요한을 좌우에 배치하는 구도가 많다. 또한, 예수의 무덤이 비었다는 소식을 듣고 베드로와 함께 달려가 가장 먼저 무덤에 도착한 제자 역시 이 '사랑하는 제자'이며, 전통적으로 사도 요한으로 여겨진다.
요한은 초대 교회 시기 베드로와 함께 지도적인 위치에 있었다.[135]
오래된 전승에 따르면, 요한은 사도들 중 유일하게 순교하지 않고 자연사했다고 한다.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모시고 에베소로 이주한 후, 파트모스 섬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요한계시록을 기록했다고 전해진다.[136] 석방되어 에베소로 돌아온 후 노년에 복음서를 저술했으며,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2. 1. 복음서에서의 요한

사도 요한은 제베대오와 살로메의 아들로 태어났다.[20][21] 일부 전승에 따르면 살로메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의 자매였고, 이 경우 요한과 그의 형 야고보는 예수의 사촌이 된다.[21][22][23] 요한은 초기에 형 야고보와 함께 갈릴래아 호수(게네사렛 호수)에서 베드로, 안드레아 형제와 함께 어부로 일했다.[137] 공관 복음서(마태 4:18–22; 마가 1:16–20; 누가 5:1–11)에 따르면, 예수는 갈릴래아 호수에서 고기잡이하던 베드로, 안드레아와 함께 세베대의 두 아들 야고보와 요한을 제자로 불렀다. 요한과 야고보는 아버지와 배를 남겨두고 즉시 예수를 따랐다.[137][25] 전통적으로 요한은 세례자 요한이 예수를 "하느님의 어린 양"이라고 가리키는 것을 듣고 예수를 따르게 된 두 제자 중 한 명(다른 한 명은 안드레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요한 1:35–39).[24]
요한은 형 야고보, 그리고 베드로와 함께 예수의 가장 가까운 제자 그룹을 이루었다. 신약성경의 열두 사도 목록에서 요한은 항상 처음 네 명 안에 언급된다.[28][29][30][31] 예수는 특별한 세 경우, 즉 야이로의 딸을 살리실 때,[32] 타볼 산에서 변모하실 때,[33] 그리고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실 때[34] 오직 이 세 제자만 데리고 가셨다. 또한 예수는 최후의 만찬을 준비하기 위해 베드로와 요한만을 예루살렘으로 보내셨다.[35][36][133]

예수는 요한과 야고보 형제의 열정적이고 다소 과격한 성격을 보고 그들에게 보아네르게스(Βοανηργές), 즉 '우레의 아들'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141][25] 이는 그들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일화들에서도 나타난다. 한번은 예수 일행을 환대하지 않은 사마리아 마을 사람들에게 하늘에서 불을 내려 벌하자고 예수께 제안했다가 꾸짖음을 들었다.[140][26] 또한, 예수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는 어떤 사람을 보고, 자신들의 무리가 아니라는 이유로 그 일을 금지시켰다고 예수께 보고했다가 "우리를 반대하지 않는 자는 우리를 위하는 자"라는 가르침을 받기도 했다.[27] 형제는 예수의 나라가 세워질 때 그의 좌우편에 앉게 해달라고 청했다가 다른 제자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는데, 이때 예수는 제자들에게 진정으로 높은 사람은 남을 섬기는 사람이며, 자신 역시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다고 가르쳤다.[138][139]
요한 복음서에는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라는 표현이 여섯 번 등장하는데(요한 13:23, 19:26, 20:2, 21:7, 21:20, 21:24), 전통적으로 이 제자가 바로 사도 요한이라고 여겨진다.[38] 이 '사랑받는 제자'는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의 바로 곁에 기대앉아 있었고, 베드로의 부탁을 받고 예수께 누가 배반할 것인지를 물었다.[37][38] 겟세마네에서 예수가 체포된 후, 베드로와 '다른 제자'(전통적으로 요한)만이 대제사장의 집까지 예수를 따라갔다.[37]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을 때, 다른 제자들은 흩어졌지만 오직 이 '사랑받는 제자'만이 십자가 아래에서 예수의 곁을 지켰다.[134][39] 예수는 십자가 위에서 자신의 어머니 마리아를 이 제자에게 맡기며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라고 말하고, 제자에게는 "보라 네 어머니라"라고 말했다. 이때부터 요한은 평생 마리아를 자신의 어머니처럼 모셨다고 전해진다.[142][39][46]
예수가 부활한 후, 마리아 막달레나로부터 무덤이 비었다는 소식을 들은 베드로와 '사랑받는 제자'는 함께 무덤으로 달려갔다. '사랑받는 제자'가 먼저 도착했지만, 베드로가 먼저 무덤 안으로 들어가도록 기다렸다. 그 후에 무덤에 들어가 예수의 부활을 믿었다.[143][40] 또한 티베리아 호숫가에서 부활한 예수를 가장 먼저 알아본 것도 이 제자였다.[144][47]
2. 2. 복음서 이후의 요한
오순절 성령 강림 이후, 요한은 베드로와 함께 예루살렘[145]과 사마리아[146][43]에서 교회를 세우고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드로와 함께 솔로몬의 현관에서 장애인을 치유했으며,[41] 함께 투옥되기도 했다.[42] 야고보, 베드로와 더불어 초기 기독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바울로는 이들을 ''교회의 기둥''으로 인정했다.[147][44] 요한은 사도 회의(48–50년경) 때까지 유대와 그 주변 지역에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
전승에 따르면, 44년경 헤로데스 아그리파 1세의 박해를 피해 소아시아로 건너가 에페소스를 중심으로 스미르나, 베르가모, 티아디라, 사르디스, 필라델피아, 라오디게이아 등 일곱 교회를 지도했다고 한다. 이레네우스로부터 시작된 전승에 따르면, 95년경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의 박해 때 요한이 체포되어 파트모스섬으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요한계시록을 저술했다고 한다. 96년 도미티아누스가 암살된 후 사면되어 에페소스로 돌아와 노년에 요한 복음서와 요한 서신들을 저술했다고 전해진다.
노년의 요한은 매우 쇠약하여 신도들의 부축을 받아 설교했으며, 항상 "서로 사랑하라"고 가르쳤다고 한다. 매번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에 대한 불평이 있자, 요한은 “사랑은 그리스도 교회의 기초요, 사랑만 있으면 죄를 범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하며, 이로 인해 ‘사랑의 사도’로 불리게 되었다. 히에로니무스 역시 요한이 노년에 강단에서 "자녀들이여, 서로 사랑하십시오. 이것은 주님의 명령이고, 이것만 지켜도 족합니다"라고 반복해서 말했다고 기록했다.[150]
이레네우스는 스미르나의 주교 폴리카르포스를 통해, 요한이 에페소스의 한 목욕탕에서 예수의 성육신을 부인하는 영지주의자 케린투스를 만나자, 그와 한 지붕 아래 있기를 거부하며 목욕탕을 떠났다고 기록했다. 또한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오스는 폴리카르포스가 요한이 니산월 14일에 주일과 관계없이 부활절을 지키는 관습(콰르토데키만주의)을 소아시아에 도입했다고 증언했다고 전한다.[150]
요한은 사도들 중 유일하게 순교하지 않고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까지 살다가 에페소스에서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고 전해진다. 이는 이레네우스의 저작 《이단 논박》(Adversus Haeresesla) 2권 22장의 기록[148]과 에페소스의 주교 폴리크라테스가 로마의 주교 빅토르에게 보낸 서신[149]에서도 확인된다.
3. 신약 외 전통
성경에는 요한이 유대에서 활동한 기간에 대한 정보가 없으나, 전승에 따르면 요한과 다른 사도들은 예루살렘 등 첫 활동지에서 약 12년간 머물렀다고 한다. 44년경 헤로데 아그리파 1세의 박해 때 소아시아로 피신했으며,[83] 그곳의 일곱 교회(에페소스, 스미르나, 베르가모, 티아디라, 사르디스, 필라델피아, 라오디게이아)를 지도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마리아의 승천 후 요한이 에페소스로 갔다는 전승도 있다.
이레네우스를 비롯한 전승에 따르면, 95년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때 요한은 체포되어 파트모스섬으로 유배되었다. 터툴리아누스는 요한이 유배 전에 로마에서 끓는 기름 가마에 던져졌으나 아무런 해도 입지 않았으며, 이 기적을 목격한 콜로세움의 모든 관중이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전한다. 요한은 파트모스섬에서 요한계시록을 저술했으며, 96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암살된 후 사면을 받아 에페소스로 돌아와 요한 복음서와 요한 서신들을 저술했다고 한다. 복음서는 노년에 제자 프로코루스가 구술 필기했다는 전승도 있다.
요한은 노쇠하여 설교할 때 신도들의 부축을 받아야 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항상 "서로 사랑하라"고 가르쳤는데, 매일 같은 설교를 반복하는 것에 대해 신도들이 질문하자 "사랑은 그리스도 교회의 기초요, 사랑만 있으면 죄를 범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요한은 '사랑의 사도'로 불린다. 히에로니무스는 요한이 노년에 제자들의 부축을 받고 강단에 올라 "자녀들이여, 서로 사랑하십시오. 이것은 주님의 명령이고, 이것만 지켜도 족합니다"라는 말을 반복했다고 기록했다.[150]
이레네우스에 따르면, 스미르나의 주교였던 폴리카르포스는 요한이 에페소스의 한 목욕탕에서 영지주의자 케린투스를 만나자, "진리의 적 케린투스가 안에 있으니 목욕탕이 무너질지도 모른다"며 그와 한 지붕 아래 있기를 거부하고 뛰쳐나왔다고 증언했다.[87] 또한 카이사레아 주교 에우세비오스는 폴리카르포스를 인용하여, 요한이 니산월 14일에 주일과 관계없이 부활절을 기념하는 관습(쿼트로데시만)을 소아시아 교회에 도입했다고 전했다.[150]
요한은 노년에 폴리카르포스와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 등을 제자로 두었다.
일반적으로 요한은 사도들 중 가장 젊었으며 유일하게 순교하지 않고[88] (몇 차례 처형 위기에서 살아남았다는 전승 포함)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기원후 98년 이후)까지 장수하여 에페소스에서 자연사했다고 믿어진다. 이는 이레네우스의 저작 《이단 논박》(Adversus Haeresesla) 2권 22장[148]과 에페소스 주교 폴리크라테스가 로마 주교 빅토르에게 보낸 서신[149]에서도 확인된다.
그러나 2세기 초 히에라폴리스의 주교 파피아스가 남겼다고 전해지는 다른 기록에는 요한이 유대인들에게 살해당했다고 되어 있다.[89][90] 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기록의 신빙성을 의심하며,[91][92] 일부에서는 이 기록이 세례자 요한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88]
요한의 무덤은 에페소스 근처 셀축의 성 요한 대성당 유적지에 있다고 여겨진다.[93]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에 무덤을 열었을 때 유해가 발견되지 않아, 요한이 승천했다는 믿음이 생겨났다. 실제로 요한은 신체적 유물을 남기지 않은 몇 안 되는 성인 중 한 명이라는 점이 이러한 믿음을 뒷받침한다.[94]
요한은 신약 외경인 요한행전과도 관련이 있다. 이 문서는 전통적으로 요한 자신이나 그의 제자 레우키우스 카리누스가 쓴 것으로 여겨졌으나, 2세기경 널리 퍼졌음에도 불구하고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년)에서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도케티즘적 성향을 보이지만 현대 학계에서는 영지주의 문서로 분류하지는 않는다.[95][96]
한편, 아토스산의 수도원을 세운 것이 요한을 따라 에페소스로 온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라는 전설도 전해진다.
4. 요한 문헌의 저자 문제
전통적으로 요한 문헌, 즉 요한복음, 요한 1서, 2서, 3서, 그리고 요한계시록은 모두 사도 요한이 기록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교회 전통은 이러한 견해를 오랫동안 유지해왔다.
그러나 요한 문헌의 저자 문제는 이미 2세기경부터 논의되기 시작했으며,[52][53] 특히 고등비평의 영향을 받은 현대 성서학에서는 전통적인 사도 요한 단독 저작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이 많다.
요한복음의 경우, 저자는 자신을 직접 밝히지 않고 "예수께서 사랑하시던 제자"(ὁ μαθητὴς ὃν ἠγάπα ὁ Ἰησοῦς|호 마테테스 혼 에가파 호 이에수스grc)라고만 언급한다.[45](요한 20:2) 이 '사랑받는 제자'가 과연 사도 요한과 동일 인물인지에 대해서는 오늘날까지도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상세 내용은 #요한복음 참조)
요한의 서신에 관해서는, 4세기 교회사학자 유세비우스가 그의 저서 『교회사』에서 요한 1서는 사도 요한의 저작이라는 데 널리 동의하지만, 요한 2서와 요한 3서는 사도 요한이 아닌 다른 요한(요한 장로)이 쓴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고 기록했다.[54] (상세 내용은 #요한 서신 참조)
요한계시록의 저자는 책 서두에서 자신을 "요한"이라고 밝히지만,[73] 요한복음과의 문체 및 어휘 사용의 차이점, 기록 연대 추정 등의 이유로 사도 요한과는 다른 인물, 즉 '파트모스의 요한'으로 보는 견해가 현대 비평학계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57][75] 유세비우스 역시 당시에 요한계시록의 저자에 대해서는 의견 일치가 없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54] (상세 내용은 #요한계시록 참조)
이처럼 현대의 많은 성서 비평학자들은 요한 문헌의 저자가 사도 요한 한 명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보며, 각 문헌의 저자가 다르거나, 혹은 요한 공동체와 같은 특정 집단의 산물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수적인 신학계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사도 요한 저작설을 지지하는 입장도 유지되고 있다.
4. 1. 요한복음
교회 전통에서는 사도 요한이 요한복음을 기록했다고 오랫동안 여겨왔다.[52][53] 요한복음 자체에서는 저자를 직접 밝히지 않고 "예수께서 사랑하시던 제자"(ὁ μαθητὴς ὃν ἠγάπα ὁ Ἰησοῦς|호 마테테스 혼 에가파 호 이에수스grc)라고만 언급한다(요한 20:2). 또한 요한 21장 24절은 이 복음서가 '사랑받는 제자'의 증언에 근거한다고 밝히고 있다.요한복음은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등 공관복음와는 내용과 구성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4세기 교회사 저술가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소아시아의 주교들이 예수의 신성을 부인하는 에비온파의 주장에 반박하기 위해 요한에게 복음서 집필을 요청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요한복음이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는 내용과 연결될 수 있다. 유세비우스는 당시 요한복음의 저자가 사도 요한이라는 점에는 폭넓은 동의가 있었다고 기록했다.[54] 전통적으로 요한은 공관복음서의 내용을 알고 있었으며, 공관복음서가 주로 세례자 요한의 투옥 이후 예수의 행적을 다루는 것과 달리 다른 관점에서 복음서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5]
하지만 요한 문헌의 저자 문제는 이미 200년경부터 논의되어 왔으며,[52][53] 19세기 이후 현대 성서 비평학계에서는 사도 요한 저작설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이 많다.[57] 오늘날 많은 비평학자들은 요한복음이 익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다고 본다.[64][65][68] 저자가 사건의 목격자인지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요한복음이 다른 복음서보다 목격자 증언에 대한 주장을 더 많이 담고 있다고 보지만(요한 19:35 등),[66][67] 복음서 자체가 목격자가 직접 저술했다고 명시적으로 주장하지는 않는다.[68][69][70] 현대 주류 성서학계에서는 신약성경의 네 복음서 모두 익명으로 쓰여졌으며, 목격자가 직접 저술하지는 않았다는 데 동의하는 경향이 있다.[71]
요한복음의 기록 시기에 대해서도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서기 65년에서 85년 사이로 추정하기도 하고,[58] 존 A. T. 로빈슨은 바울 서신과의 유사성을 근거로 서기 50-55년경 초판, 65년경 최종판을 주장하기도 했다.[59]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요한복음이 1세기 후반, 즉 서기 75-80년 이후에 기록되었으며,[61] 늦게는 1세기 말에서 2세기 초(서기 90-100년)까지도 가능하다고 본다.[62] 이는 일반적으로 복음서들이 예수 사망 후 40년에서 60년 사이에 기록되었다는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와도 맥을 같이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수적인 신학계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사도 요한 저작설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콜린 G. 크루스는 초기 교부들이 일관되게 요한을 저자로 언급했다는 점을 들어 전통적 견해를 지지한다.[63]
요한과 요한복음은 종종 독수리를 상징으로 사용하는데, 이는 에스겔서 1장 10절에 나오는 네 생물(사람, 사자, 소, 독수리)이 각각 네 복음서 기자를 상징한다는 전통에 따른 것이다.



4. 2. 요한 서신
교회 전통에서는 요한 1서, 요한 2서, 요한 3서 세 서신을 요한복음, 요한계시록과 함께 사도 요한의 저작으로 여겨왔다.그러나 이러한 서신들의 저자 문제에 대해서는 초기 교회부터 논의가 있었다. 4세기 교회사학자 유세비우스는 그의 저서 교회사에서, 요한 1서는 요한복음과 마찬가지로 사도 요한의 저작이라는 데 널리 동의하지만, 요한 2서와 요한 3서는 사도 요한이 아닌 다른 요한(아마도 요한 장로)이 쓴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고 기록했다.[54] 600년경 예루살렘의 소프로니우스 역시 "그의 이름을 가진 두 통의 서신…은 어떤 요한 장로의 작품으로 여겨진다"고 언급했다.[56]
고등비평의 영향을 받은 근대의 성서학에서는 사도 요한이 이 세 서신 모두의 저자라는 전통적인 견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이 많다.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현대의 많은 학자들은 요한 서신들의 저자가 사도 요한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수적인 신학계에서는 여전히 사도 요한을 세 서신의 저자로 보는 전통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요한 문헌 참조)
4. 3. 요한계시록
요한계시록의 저자는 책 서두에서 자신을 "요한"(Ἰωάννηςgrc)이라고 밝히며,[73]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의 증언 때문에 에게해의 밧모섬(Patmos)에 유배되어 있을 때 이 책에 기록된 환상(vision)을 보았다고 말한다.[72] "나 요한은 너희 형제요 예수 그리스도의 환난과 나라와 인내에 함께 참여하는 자니 …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의 증언으로 말미암아 섬 파트모스에 있었더라." (요한계시록 1:9)전통적으로 교회는 사도 요한을 요한복음, 요한의 서신들과 더불어 요한계시록의 저자로 여겨왔다. 2세기 초의 교부 유스티누스는 처음으로 요한계시록의 저자를 사도 요한과 동일시했다.[74] 그러나 4세기 유세비우스는 그의 저서 『교회사』에서 요한 1서와 요한복음의 저자가 사도 요한이라는 점에는 널리 동의하지만, 요한계시록의 저자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기록했다.[54]
오늘날 많은 성서 비평학자들은 요한계시록의 저자가 사도 요한과는 다른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57][75] 주요 근거 중 하나는 요한계시록의 기록 연대가 사도 요한의 활동 시기 이후인 서기 100년경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77] 또한,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 사이에 나타나는 어휘, 문법, 문체상의 차이점 때문에 동일 저자의 저작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81] 일부 학자들은 요한계시록의 저자를 장로 요한으로 보기도 하며,[77][78] 단순히 '파트모스의 요한'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일부 현대 비평 학자들은 사도 요한, 요한 복음사가, 파트모스의 요한이 실제로는 세 명의 다른 인물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80] 그러나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의 내용적 유사성을 근거로 두 책의 저자가 동일 인물이라고 보는 견해도 여전히 존재한다.[76]
요한이 밧모섬으로 유배된 것은 로마 제국의 도미티아누스 황제(재위 81-96년) 치하 박해 기간으로 여겨진다. 성서학자 아델라 야르브로 콜린스(Adela Yarbro Collins)에 따르면, 당시 유배는 마법, 점성술 등 다양한 범죄에 대한 흔한 형벌이었으며, 로마 당국은 예언 활동 역시 같은 범주로 보았다. 특히 요한계시록과 같이 정치적 함의를 지닌 예언은 로마의 정치 권력과 질서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어 유배의 사유가 될 수 있었다.[79]
5. 다양한 관점
(내용 없음)
5. 1. 이슬람의 관점
꾸란에서는 예수의 제자들을 직접 이름을 부르지 않고 "알라의 [대의를 위한] 지지자들"이라고 언급한다.[110] 순나에서도 제자들의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일부 이슬람 학자들은 기독교 자료에 의존하여 제자들의 이름을 언급하기도 하는데,[111] 이는 이슬람 전통에서 기독교인들을 "경전의 백성"으로 여기기 때문이다.이슬람 주석학에서는 신약성경의 목록과 거의 유사하게 제자들을 설명하며, 베드로, 빌립, 도마, 바돌로매, 마태, 안드레,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 유다, 요한, 그리고 열심당원 시몬 등이 포함된다고 본다.[112] 다만, 이슬람에서는 꾸란이나 순나에서 특별히 뒷받침하거나 부정하지 않는 한, 경전의 백성(기독교인과 유대교인)의 이야기는 무슬림이 반드시 믿어야 하거나 믿지 말아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여긴다.[113]
5. 2. 드루즈교의 관점
드루즈교 전통에서는 여러 스승과 예언자들을 존중하며, 사도 요한은 예언자로서 존경받는다.[5] 또한 드루즈 교리는 기독교가 "존중되고 칭찬받아야 한다"고 가르치며, 복음서 저자들은 "지혜의 전달자"로 여겨진다.[114]5. 3. 모르몬교의 관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 교회)는 사도 요한이 요한 복음사가, 밧모섬의 요한, 그리고 예수의 사랑받는 제자와 동일 인물이라고 가르친다.[1] LDS 교회는 요한이 후기 계시에서 자주 언급된다고 설명한다(니파이전서 14:18-27; 제3니파이 28:6; 이더서 4:16; 교리와 성약 7; 27:12; 61:14; 77; 88:141). 이러한 후기 성도 경전 구절들은 성경에 기록된 요한에 대한 기록을 확증할 뿐만 아니라, 그의 위대함과 주님이 신약 시대와 마지막 날에 그에게 맡긴 지상 사역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고 본다. 특히, 후기 경전은 요한이 죽음을 맞이하지 않고 그리스도의 재림 때까지 봉사하는 종으로서 지상에 머물도록 허락받았음을 명확히 한다고 주장한다(요한복음 21:20-23; 제3니파이 28:6-7; 교리와 성약 7).[115]또한 LDS 교회는 1829년에 부활한 베드로와 야고보와 함께 요한이 조셉 스미스와 올리버 카우드리를 방문하여 신권 권능과 사도 계승을 지상에 회복했다고 가르친다.[116] 하지만 일부 전(前) 후기 성도들은[117] 이전 판 후기 경전의 내용이 이러한 신권 권능과 사도 계승 주장에 모순된다고 논란의 여지가 있게 주장하기도 한다.[118] LDS 교회에 따르면, 요한은 세 니파이인과 함께 번역된 존재로서 그리스도의 재림을 목격할 것이다.[119]
6. 예술 속의 요한
요한은 전통적으로 예수가 사랑한 사도이자 복음서 저자, 요한계시록과 여러 서간의 저자로 여겨져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미술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다루어졌다.[120] 그는 전통적으로 두 가지 다른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하나는 흰 수염이나 회색 수염이 있는 노인의 모습이고, 다른 하나는 수염이 없는 젊은이의 모습이다.[121][122] 노인의 모습은 비잔틴 미술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며, 이는 고대 소크라테스 묘사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123] 반면 젊은이의 모습은 중세 서유럽 미술에서 더 자주 보이며, 그 기원은 4세기 로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22]
요한에게 속한다고 여겨지는 외경인 요한행전의 전설은 중세 이콘 제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요한이 어린 나이에 사도가 되었다는 생각도 이 책에서 비롯되었다.[122] 요한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속성 중 하나는 뱀이 나오는 잔이다.[120] 이 상징은 요한행전의 전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되는데, 전설에 따르면 요한은 신앙의 힘을 증명하기 위해 독이 든 잔(독은 뱀으로 상징됨)을 마시라는 도전을 받았다.[120][124] 다른 흔한 상징물로는 그가 썼다고 전해지는 글들을 나타내는 책이나 두루마리, 그리고 독수리가 있다.[122] 독수리는 요한의 저술들이 지닌 고상하고 영적인 특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20]
중세부터 르네상스 시대의 회화, 조각, 문학 작품에서 성 요한은 종종 양성적이거나 여성적인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25] 역사가들은 이러한 묘사가 당시 신자들의 상황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126] 예를 들어, 요한의 여성적인 특징이 여성 신자들이 그에게 더 쉽게 공감하도록 도왔다는 주장이 있다.[127] 또한, 역사학자 Sarah McNamer는 요한이 양성적인 성인으로서 제3의 성 또는 혼합된 성의 "이미지"[128]이자 "동일시할 수 있는 중요한 인물"[129]로 기능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중세 말기, 남성성과는 거리가 멀다고 여겨졌던 감정적인 신앙 형태인 애정 경건을 실천하려는 남성 신자들에게 요한의 모습이 중요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130] 이러한 여성적인 묘사는 중세 이후에도 계속되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자크 벨랑주의 에칭 작품이 있다. 미술 평론가 리처드 도먼트는 이 작품 속 요한을 "곱슬머리, 십대 소녀 같은 작은 가슴, 성숙한 여성의 둥근 배를 가진 부드럽고 양성적인 존재"라고 묘사했다.[131]
현대에 와서는 댄 브라운의 소설 ''다빈치 코드'' (2003)를 통해 이러한 묘사가 대중적인 관심을 끌었다. 소설 속 등장인물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유명한 그림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 오른쪽에 여성적으로 보이는 인물이 사실 성 요한이 아니라 마리아 막달레나라고 주장한다.
7. 기념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 루터교회는 12월 27일을 '사도 요한 복음사가 축일'로 기념한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로, 성공회와 루터교에서는 "성 요한 사도와 복음사가"로 부른다.[97] 트리엔트 미사 전례력에서는 이 축일 다음 날부터 1월 3일까지 팔일 축제 기간 동안 매일 기념했으나, 이 팔일 축제는 1955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폐지되었다.[98] 이 축일의 전례색은 흰색이다. 성공회에서는 사도이자 복음사가인 요한을 성인력에 따라 기념하며, 12월 27일에 축일로 지낸다.[99] 로마 가톨릭 전통에서는 요한을 터키, 소아시아 및 터키인의 수호성인으로 여긴다.[100]
1960년까지 일반 로마력에는 5월 6일의 "라틴 문 앞의 성 요한" 축일도 있었다. 이는 제롬이 전한 전승에 따라, 도미티아누스 황제 치세에 요한이 로마로 끌려와 끓는 기름 가마에 던져졌으나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 사건이 일어났다고 전해지는 로마의 라틴 문 근처에는 그를 기리는 산 조반니 아 포르타 라티나 성당 교회가 세워졌다.[101]
정교회와 비잔티움 전례를 따르는 동방 가톨릭교회에서는 연중 여러 날에 걸쳐 사도 요한을 기념한다.
참조
[1]
서적
The Future of the Catholic Church with Pope Francis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15-03-10
[2]
블로그
Were the Disciples Martyred for Believing the Resurrection? A Blast From the Past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Literature, Volume 2
Scarecrow Press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5]
서적
The A to Z of the Druzes
Rowman & Littlefield
[6]
서적
A Gift of Angels: The Art of Mission San Xavier Del Bac
University of Arizona Press
[7]
서적
Drinking with Your Patron Saints: The Sinner's Guide to Honoring Namesakes and Protectors
Simon and Schuster
[8]
서적
Architects of Piety: The Cappadocian Fathers and the Cult of the Martyrs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On Envy
https://stmichael.ca[...]
Church of Saint Michael
2023-09-13
[10]
학술지
The Disciples of John and the Odes of Solomon
https://www.jstor.or[...]
[11]
백과사전
Saint John the Apostle
https://www.britanni[...]
2021
[12]
언어
2021-06-00
[13]
웹사이트
Life of St. John the Theologian
https://www.stjt.org[...]
2024-01-20
[14]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a Reader's Introduction
Mayfield
1985
[15]
서적
History and Heresy: How Historical Forces Can Create Doctrinal Conflicts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12-10-01
[16]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A Reader's Guide and Reference
https://books.google[...]
Mayfield Publishing Company
2022-01-26
[17]
서적
Canon Revisited: Establishing the Origins and Authority of the New Testament Books
https://books.google[...]
Crossway
2012-04-30
[18]
서적
The Gospel and Epistles of John: A Concise Commentary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19]
서적
The Epistles of John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1978-07-14
[20]
성경
[21]
웹사이트
Topical Bible: Salome
https://biblehub.com[...]
2020-08-07
[22]
웹사이트
John 19 Commentary – William Barclay's Daily Study Bible
https://www.studylig[...]
2020-08-07
[23]
웹사이트
The Disciples of Our Saviour.
https://biblehub.com[...]
2020-08-07
[24]
웹사이트
John, The Apostle –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s://www.biblestu[...]
2020-07-23
[25]
웹사이트
Saint John the Apostle
https://www.francisc[...]
2015-12-27
[26]
성경
[27]
성경
[28]
성경
[29]
성경
[30]
성경
[31]
성경
[32]
성경
[33]
성경
[34]
성경
[35]
성경
[36]
성경
[37]
웹사이트
St John The Evangelist
http://www.ewtn.com/[...]
[38]
성경
[39]
성경
[40]
성경
[41]
성경
[42]
성경
[43]
성경
[44]
웹사이트
St. John the Evangelist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10-10-01
[45]
성경
[46]
성경
[47]
성경
[48]
서적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Wm. B. Eerdmans Publishing
[49]
성경
[50]
성경
[51]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xiii–xxi)
Doubleday & Co
[52]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5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pocalypse
http://www.newadvent[...]
[54]
서적
The History of the Church
[55]
서적
On illustrious men
CUA Press
[56]
서적
The Explanation of the Holy Gospel According to John
Chrysostom Press
[57]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58]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cGraw-Hill
[59]
서적
Redating the New Testament
SCM Press
[60]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61]
서적
New Revised Standard Translation of the Bible
Abingdon Press
[62]
서적
Reading John
Dove Press
[63]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Eerdmans
[64]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Penguin
[65]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early Christian writings
Oxford University Press
[66]
웹사이트
The Riddles of the Fourth Gospel
https://books.google[...]
[67]
웹사이트
The Gospel of John
https://books.google[...]
[68]
웹사이트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69]
웹사이트
Truth and Fiction in The Da Vinci Code: A Historian Reveals What We Really Know about Jesus, Mary Magdalene, and Constanti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0]
웹사이트
The lost Gospel of Judas Iscariot: a new look at betrayer and betraye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72]
성경
[7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Dialogue with Trypho
[75]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Oxford
[76]
서적
The Book of Revelation For Dummies
John Wiley & Sons
[77]
웹사이트
Church History, Book III, Chapter 39
https://www.newadven[...]
NewAdvent.org
2020-06-22
[78]
웹사이트
De Viris Illustribus (On Illustrious Men) Chapter 9 & 18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5-06-02
[79]
서적
Patmos
Harper & Row
[80]
서적
John the Beloved
Deseret Book
[81]
서적
Introduction. Saint Joseph Edition of the New American Bible: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Languages with Critical Use of All the Ancient Sources: including the Revised New Testament and the Revised Psalms.
Catholic Book Pub.
[82]
웹사이트
Heilige Johannes
https://lib.ugent.be[...]
2020-09-28
[83]
성경
[84]
성경
[85]
백과사전
Ephesu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3-02-06
[86]
서적
Irenaeus of Lyons
Routledge
[87]
서적
Against Heresies
[88]
웹사이트
John the Apostle
http://www.ccel.org/[...]
[89]
백과사전
John, Son of Zebedee
https://archive.org/[...]
Adam & Charles Black
[90]
서적
The Legacy of John: Second-Century Reception of the Fourth Gospel
https://books.google[...]
Brill
[91]
서적
John, the Son of Zebedee: The Life of A Legend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92]
서적
The Apocalypse of St. John
https://archive.org/[...]
Macmillan
[93]
서적
On Buildings
Harvard University Press
[94]
서적
A Short History of St. John in Ephesus: The first and Greatest Metropolis of Asia The Cradle of the Hellenic Civilization A Nursery and Garden of Christianity The Second Province of God After Jerusalem with a precious Unique Common Christian-Moslem Shrine
American Society of Ephesus
[95]
웹사이트
The Acts of John
http://gnosis.org/li[...]
2019-02-11
[96]
서적
Lost scriptures : books that did not make it into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97]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prayerbook.ca[...]
2013-10-16
[98]
간행물
General Roman Calendar of Pope Pius XII
[99]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00]
서적
Architects of Piety: The Cappadocian Fathers and the Cult of the Martyrs
Oxford University Press
[101]
서적
Saint Andrew Daily Missal with Vespers for Sundays and Feasts
The E.M. Lohmann Co.
[102]
웹사이트
Orthodox Calendar: Old Style, February 15; New Style, February 28
https://orthochristi[...]
2023-04-30
[103]
웹사이트
Orthodox Calendar: Old Style, May 8; New Style, May 21
https://orthochristi[...]
2024-12-11
[104]
웹사이트
Apostle and Evangelist John the Theologian
https://www.oca.org/[...]
2023-04-30
[105]
웹사이트
Synaxis of the Holy, Glorious and All-Praised Twelve Apostles
https://www.oca.org/[...]
2023-04-30
[106]
웹사이트
The Service of Matins on Wednesday, July 10, 2024
https://dcs.goarch.o[...]
2024-12-11
[107]
웹사이트
Σύναξις Ἁγίου Ἰωάννου τοῦ Θεολόγου ἐν τοῖς Βεάτου
https://www.synaxari[...]
2024-12-18
[108]
웹사이트
Ἐγκαίνια ἱεροῦ Ναοῦ Ἁγίου Ἰωάννου Θεολόγου πλησίον τῆς ἁγιοτάτης Μεγάλης Ἐκκλησίας
https://www.synaxari[...]
2024-12-11
[109]
웹사이트
Repose of the Holy Apostle and Evangelist John the Theologian
https://www.oca.org/[...]
2023-04-30
[110]
성경
Qur'an 3:52
[111]
서적
Prophet's Sirah
Ibn Hisham
[1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Rowman & Littlefield)
2003
[113]
서적
Musnad el Imam Ahmad Volume 4
Dar al Fikr
[114]
잡지
On the Horizon: The Strange World of the Druzes
https://www.commenta[...]
1956-01-20
[115]
웹사이트
John, Son of Zebedee
https://www.churchof[...]
[116]
성경
Doctrine and Covenants 27:12
[117]
웹사이트
Priesthood restoration. CES Letter.
https://read.ceslett[...]
[118]
웹사이트
A CES Letter Reply: Faithful Answers For Those Who Doubt
https://archive.book[...]
[119]
서적
KJV (LDS): Bible Dictionary
LDS Church
[120]
서적
John the Evangelist
Harper & Row
[121]
서적
Christ and St. John the Evangelist as a Model of Medieval Mysticism
Harper & Row
[122]
백과사전
Saint John the Apostl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7-08-04
[123]
논문
Socrates and St. John the Apostle: the interchangеable similarity of their portraits
[124]
서적
A Collection of Apocryphal Christian Literature in an English Translation Based on M.R. James
Oxford University Press
[125]
서적
John the Evangelist and Medieval Writing: Imitating the Inimitable
Oxford University Press
[126]
서적
John the Evangelist and Medieval Writing: Imitating the Inimitable
Oxford University Press
[127]
서적
John the Evangelist and Medieval Writing: Imitating the Inimitable
Oxford University Press
[128]
서적
Affective Meditation and the Invention of Medieval Compass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29]
서적
Affective Meditation and the Invention of Medieval Compass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30]
서적
Affective Meditation and the Invention of Medieval Compass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31]
뉴스
The Sacred and the Sensual
https://www.telegrap[...]
1997-02-15
[132]
웹사이트
St. John the Apostle
https://www.catholic[...]
[133]
성경
루카 22:8
[134]
성경
요한복음 19:26
[135]
성경
사도행전 3:1
[136]
성경
요한계시록 1:9
[137]
성경
마태복음 4장 21-42절
[138]
성경
마가복음 10장 35-40절
[139]
성경
마태복음 20장 27-28절
[140]
성경
누가복음 9장 54절
[141]
성경
마가복음 3장 17절
[142]
성경
요한복음 19장 26-27절
[143]
성경
요한복음 20장 1-5절
[144]
성경
요한복음 21장 7절
[145]
성경
사도행전 3장 1절
[146]
성경
사도행전 8장 14절
[147]
성경
갈라디아서 2장 9절
[148]
서적
(제목 없음)
[149]
서적
(제목 없음)
[150]
서적
교회사전집. 1
크리스챤다이제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